SaaS란 무엇입니까? | SaaS 정의

SaaS(Software-as-a-Service)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에서 실행됩니다. 사용자는 SaaS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하는 대신 가입하고 인터넷을 통해 액세스합니다.

학습 목표

이 글을 읽은 후에 다음을 할 수 있습니다:

  • SaaS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를 통해 어떻게 소프트웨어가 제공되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 SaaS 애플리케이션을 장단점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계속 알아보시겠어요?

인터넷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사이트를 한 달에 한 번 정리하는 Cloudflare의 월간 요약본 theNET를 구독하세요!

Cloudflare가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방법은 Cloudflare의 개인정보 취급방침을 참조하세요.

글 링크 복사

SaaS(Software-as-a-Service)란 무엇입니까?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즉 SaaS는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제공 방법입니다. SaaS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매한 후 설치하는 대신 애플리케이션에 가입합니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호환 장치에서 Saa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실행됩니다.

SaaS 애플리케이션과 비SaaS 애플리케이션 비교

SaaS 애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나 앱을 통해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Gmail, Office 365 등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액세스하는 온라인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은 SaaS 애플리케이션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SaaS와 사용자의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의 차이점은 온라인 스트리밍 TV 쇼와 DVD로 TV 쇼의 전 시즌을 구매하는 것의 차이점과 다소 비슷합니다.

SaaS 가용성

DVD로 TV 쇼를 구매하는 경우 한 번 결제하지만 DVD를 보관하고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를 Blu-ray 플레이어로 교체하면 DVD를 다시 구매해야 합니다. 이와 반대로 스트리밍은 제3자가 저장과 업그레이드를 처리하고 사용자는 재생 버튼만 누르면 됩니다. 하지만 스트리밍은 인터넷에 의존하며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액세스를 유지하기 위해 월별 요금을 지불해야 합니다.

'서비스형(as a service)'의 의미는 무엇입니까?

발레 주차와 주차 공간을 대여하는 것이 차이점을 생각해보세요. 발레 주차와 주차 공간은 모두 자동차를 주차할 공간이라는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지만 발레 주차는 서비스고 주차 공간은 제품입니다.

전통적으로 소프트웨어 업체는 소프트웨어를 제품으로서 사용자에게 판매했습니다. 하지만 SaaS 모델에서는 클라우드를 통해 사용자를 대신하여 적극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유지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와 코드를 호스팅 및 유지하고 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합니다. 따라서 SaaS는 제품보다 서비스에 가깝습니다.

클라우드란 무엇입니까?

"클라우드"는 다양한 데이터 센터에 있는 원격 웹 서버로서 데이터베이스를 호스팅하고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실행합니다. 클라우드 제공 업체는 인터넷을 통해 고객이나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전달합니다. (클라우드란 무엇입니까? 참조)

3대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은 무엇입니까?

saas 서비스 모델

SaaS는 3대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중 하나입니다.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은 클라우드 제공 업체, 즉 다양한 데이터 센터에서 서버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기업이 사용자와 기업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범주입니다.

3대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 서비스형 인프라(IaaS): 클라우드 공급자가 관리하는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의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기업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의 백엔드를 직접 유지하는 대신 IaaS에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 서비스형 플랫폼(PaaS): PaaS에는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개발 도구, 인프라, 기타 지원이 포함됩니다.
  • SaaS(Software-as-a-Service): 완벽히 구성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SaaS의 장단점은 무엇입니까?

SaaS 모델은 수많은 장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기업과 사용자에겐 SaaS의 장점이 단점보다 많습니다. SaaS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장점: 어디서나 아무 장치에서 액세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어디서나 아무 장치에서 SaaS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대단한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기업은 직원이 전 세계 어디서나 활동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파일을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대부분의 사용자는 여러 장치를 사용하고 자주 교체하지만 새 장치로 전환할 때마다 SaaS 애플리케이션을 다시 설치하거나 라이선스를 새로 구매하지 않아도 됩니다.
  • 장점: 업데이트나 설치 불필요. SaaS 제공 업체는 지속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업데이트하고 패치합니다.
  • 장점: 확장성. SaaS 제공 업체는 사용량이 증가하면 데이터베이스 공간이나 컴퓨팅 파워를 추가하는 식으로 애플리케이션을 확장합니다.
  • 장점: 비용 절감. SaaS는 내부 IT 비용과 간접비를 절감합니다. SaaS 제공 업체가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서버와 인프라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업은 애플리케이션 가입비만 부담하면 됩니다.
  • 단점: 강력한 액세스 제어 필요. SaaS 애플리케이션의 접근성이 증가하면 사용자 ID 확인과 액세스 레벨 관리도 매우 중요해집니다. SaaS를 사용하면 조직의 자산은 더 이상 외부 세계와 분리된 내부 네트워크에 있지 않습니다. 대신 사용자는 사용자 ID를 기반으로 액세스합니다. 즉, 올바른 로그인 자격 증명이 있으면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강력한 ID 확인이 필수적입니다.
  • 단점: 벤더 종속. 기업에서는 SaaS 애플리케이션 공급자에게 과도하게 의존하게 될 수 있습니다. 조직의 전체 데이터베이스가 낡은 애플리케이션 내에 저장된 경우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으로 옮기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합니다.
  • 단점(대기업): 보안 및 규정 준수. SaaS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트를 보호하는 책임이 내부 IT팀에서 외부 SaaS 제공 업체로 이동합니. 중소기업의 경우 이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형 클라우드 제공 업체가 강력한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자원이 많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대기업이 엄격한 보안 또는 규제 기준에 직면하는 경우 이것은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이 침투 테스트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보안을 직접 평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결국 기업은 애플리케이션이 안전하다는 외부 SaaS 제공 업체의 말을 믿을 수 밖에 없습니다.

SaaS 기업에는 어떤 기업이 있습니까?

앞서 소개한 것처럼 온라인 이메일 제공 업체는 SaaS 기업으로 분류됩니다. 이외에도 잘 알려진 SaaS 기업에는 Salesforce, Slack, MailChimp, Dropbox가 있습니다.

Cloudflare는 SaaS 애플리케이션을 보호하고 가속하는 데 어떻게 도움을 줍니까?

Cloudflare에서는 다양한 제품과 기능을 제공하여 기업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과정을 돕습니다. SaaS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기업에 대해 Cloudflare Zero Trust는 Cloudflare에서 보호하는 모든 도메인, 애플리케이션, 경로에 대하여 사용자 액세스를 보호하고 인증하며 모니터링합니다.

한편 Cloudflare 기술은 SaaS 제공 업체에 다음과 같은 혜택을 제공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